1 생활습관을 재무원칙에 맞춰라.
재무설계의 핵심 포인트는 재무원칙에 맞게 생활습관을 갖는 것인데 계획에 맞는 실천을 해야 하고, 신용카드보다 체크카드를
사용하며, 과소비를 억제하고, 선저축 후 소비 하는 생활패턴을 실행해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입과 지출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경제관념을 갖고 시간과 기회비용을 잃지 않기 위해 효율적인 자산관리방법을 터득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3 유동성확보를 위해 비상자금을 관리하라.
직장인은 퇴직이나 질병,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가족의 생계나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도록 미래의 재무적 대비를 위한 유동성자산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동성 금융자산으로는 거래가 빈번하더라도 수수료 부담이 적게 드는 CMA통장을 선호하며, 질병이나
상해 사고로부터 고액의 치료비 위험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의료실비보험과 종신보험이나 정기보험에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재무목표에 맞는 장기 투자형상품을 선택하라. 4
목적자금을 만들기 위해서는 재무설계 차원에서 적합한 상품을 선정해야 하는데 연령별로 결혼자금, 비상자금을
위해서는 중단기적인 은행적금이나 CMA통장 등의 금리나 수수료 면에서 유리한 금융상품을 선택하여야 하고,
주택마련자금, 자녀교육자금, 노후은퇴자금 준비를 위해서는 장기적인 복리, 비과세, 장기적으로 수수료 부담에서
유리한 변액연금, 변액유니버셜보험, 연금보험, 연금저축 등이 선호되고 있으며, 특히 노후은퇴준비를 위한
금융상품은 복리효과를 누리기 위해서 한 살이라도 빠를 때 가입하는 것이 좋습니다.